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선거 여론조사 전화 차단 거부 총정리
    일상정보 2024. 5. 5. 18:04
    반응형

    선거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시도 때로 없이 걸려와 우리를 괴롭히는 여론조사 전화. 선거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에 어느 정도 이해는 가지만 일주일에 몇 번, 심하면 매일 걸려오다 보니 업무적으로 방해가 되기도 하고 일상에서 불편을 주기도 합니다. 그래서 오늘은 이 불편함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통신사 3 사별 여론조사 전화 차단 수신 거부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 

    여론조사 전화가 걸려오면 '내 전화번호를 어떻게 알지? 혹시 내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인가?' 하고 걱정이 될 때도 있는데요. 공직선거법 및 공직선거관리규칙에는 이동통신사가 각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여론조사기관에 제공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며, 가입자의 번호를 그대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번호로 변환하여 기관에 제공하게 되기 때문에 개인 정보 유출에 대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.

     

    통신사별 여론조사 전화차단을 진행하기 위해서 첫 번째로 내가 이용 중인 총신사가 무엇인지 알아야 하는데요.  스마트폰 화면 상단을 아래로 쓸어내리면 확인이 가능합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 1. 기기 내에서 직접 차단

     

    아이폰을 기준으로 통화 앱에서 해당 번호 옆 파란색 ¡ 표시를 누른 뒤, 발신자 차단 버튼을 클릭합니다. 여론조사 번호를 '스팸번호'로 저장 후 차단하면 차단 목록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것은 가장 원시적인 여론조사 차단 방법이지만 일일이 걸려오는 전화번호를 차단하게에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완전한 해결책이 되기는 어렵습니다. 

     

      2. KT

     

    080 - 999- 1390 

    KT는 위 번호를 누르면 ARS에서 '수신거부 처리가 완료되었습니다' 안내 멘트가 나오고 자동 종료됩니다.

     

      3. SKT

     

    1547 > 1번 > 생년월일(주민등록번호 앞 6자리)

    1547 번호로 전화를 걸면 '공직선거법 관리규칙 안내' 자동응답이 들려오는데 다 들을 필요 없이 그냥 숫자 1번을 누르고 다음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 앞 6자리를 눌러주면 완료됩니다. 

     

      4. LG U+

     

    080- 855-0016  > 1번 

    위 번호로 전화하면 '공직선거법 관련' 안내가 나오며 다 들을 필요 없이 1번을 누르면 완료됩니다.

     

      5. 알뜰폰

     

    결론적으로 알뜰폰은 여론조사 전화 차단이 어렵습니다. 왜냐하면 알뜰폰은 공직선거법상 가상번호를 제공하는 통신사가 아니며, 통신사가 여론조사와 정당에 전화번호를 제공한 것이 아니라 각 여론조사에서 010 이하 8자리 번호를 무작위로 조합하여 전화를 걸었기 때문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각 통신사별 방법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통신사를 확인 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고, 신청하더라도 무작위 생성 방법을 사용하는 업체도 있기 때문에 100% 다 차단할 수 있는 없다는 점도 알고 있어야 합니다. 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